[25.02.02] 우리가 ‘에노스’임을 고백할 때 (창4:25~26) > 목회자 컬럼


[25.02.02] 우리가 ‘에노스’임을 고백할 때 (창4:25~26)

본문

가인은 성을 쌓았고, ‘라멕은 자신의 권력을 자랑했습니다(4:16~24). 가인과 그 후예는 삶에서 이룬 업적에 관해 할 말이 많습니다. 반면, (아벨)의 후예는 평범한 삶을 살았습니다. 그들의 삶은 태어나서 자식을 낳고 살다 죽었다로 단순하게 묘사할 수 있습니다(5:1~32). 가인의 후예와 셋의 후예는 사이에 공통점은 모두 죽었다는 사실입니다. 이렇게 성경에 처음 등장하는 두 가계 족보는 인간은 누구나 죽는다는 사실을 선언합니다.

셋은 아들 이름을 에노스’(덧없음, 연약함)라 지었으며, 이때 사람들은 여호와의 이름을 불렀습니다. , 하나님께 예배했습니다. 우리가 에노스임을 고백할 때, 참된 예배가 시작됩니다. 셋의 후손 중, 하나님과 평생을 동행하다 들림을 받은 에녹(바침, 헌정함)이 있습니다(5:24). 가인의 아들 에녹과 동명이인입니다(4:17). 가인의 아들 에녹은 하나님 없는 문명에 바쳐진 자라면, 셋의 후손 에녹은 하나님께 바쳐진 자라 할 수 있습니다! 셋의 후손 중에는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여 방주를 지어 가족을 구원한 노아도 있습니다(5:29). 온 가족이 함께 모이고 심지어 조상까지 생각하는 설 명절이야말로 우리가 에노스임을 고백하며 하나님의 이름을 부를 때입니다. 설 명절에 함께 하나님을 예배할 때, 그 집의 가장은 셋(믿음의 터)이 되고 후손 중에 에녹(하나님께 바쳐진 자)이나 노아(하나님의 위로)와 같은 믿음의 인물이 나올 것입니다.

한편, 우리가 에노스임을 고백할 때, 우리는 삶의 지혜를 얻게 됩니다. 이번 <설 가정예배 순서지>에 나오는 말씀은 우리 삶이 유한함을 기억하며, 창조주 하나님을 기억하라는 전도서 121~2절입니다. 전도서의 핵심 메시지는 삶이 유한함을 기억하고 따라서 창조주 하나님을 기억하는 것과 함께 오늘을 지혜롭게 살라는 것입니다. 해 아래서 하는 일이 헛된 바람을 잡는 것과 같지만, 인생은 하나님이 주신 선물입니다. 따라서 전도서는 오늘 하나님을 경외하며, 선을 행하며, 사랑하는 이들과 함께 기쁘고 즐겁게 먹고 마시며 살라고 권면합니다(3:12~14, 5:18~19, 9:7~10, 등등). 하루를 살아도 행복하게 살아야 합니다(5:20). 지나치게 과거에 얽매이거나 미래에 관해 염려하지 말고, 오늘을 기쁨으로 살아야 합니다. 스토아 철학자들도 인생을 탐구하며, 삶을 지혜롭게 살도록 세 가지 가르침을 주었습니다. 메멘토 모리(Memento mori, 죽음을 기억하라), 카르페 디엠(Carpe diem, 현재를 붙잡으라), 아모르 페티(Amor fati, 주어진 운명을 사랑하라).

추천2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목회자 컬럼 목록

검색


Copyright (c) 2024-2025 한남교회. All rights reserved.
[07251] 서울 영등포구 양산로 182 한남교회
02-2679-9515